중국복음선교회(Kr-CMI) 40 주년 세미나 발제 자료 > 사역중국어 중국복음선교회

본문 바로가기

사역중국어

사역중국어 HOME


중국복음선교회(Kr-CMI) 40 주년 세미나 발제 자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중국복음선교회 댓글 0건 조회 486회 작성일 24-10-18 13:35

본문

2024년 10월 2일부터 6일까지 진행된 중국복음선교회 40주년 기념 세미나에서 발표된 여러 강사들의 발제 자료 중에서 일부 자료만 올립니다. 아래 내용을 참고해 주십시오



중국 선교 전망

                                              발제자:  **

우리의 한가지 바램은

우리 이 세대가 중국 교회의 가장 큰 부흥을 경험하고,
우리 이 세대가 “선교중국”을 마침내 실현하는 것을 보는 것이다!

우리 이 세대가 대사명을 완수하고, 그리스도의 재림을 맞이하는 것이다!

중국 성도들의 기도 우리 세대에 세계 선교의 완성을 보게 하소서

我们有一个盼望

在我们这一代经历中国教会最大的一次复兴,

在我们这一代 看见“宣教中国”终于实现!

在我们这一代完成大使命,迎接基督的再来!

中國信徒的祈禱:“願我們這一代能見證世界宣教的完成。

 

서 론

 

금번 중국복음선교회의 설립 40주년과 목사님의 소천 20주년을 기념하는 포럼에 발제 할 수 있게 하신 하나님과 복음선교회 관계자분들께 감사드린다.

 본 발제자는 198547일 세례를 받고, 48일에 중국선교에 대한 소명을 받아, 지난 39년간 중국 선교를 위해 신학공부를 하고, 선교훈련을 받았으며, 1994년부터 중국을 왕래했고, 2001년부터, 중국 상해에 정착하여, 중국인들에게 복음을 증거하고, 교회를 개척하였으며, 신학교를 운영하고, 문서 사역과 농촌 가정교회 순회, 도시 가정교회 지도자 훈련, 선교 동원 등의 사역을 진행했다.

 중국 선교 소명을 받은 1985년부터 지금까지 약 40년 동안 중국을 알기 위해, 중국어 학습, 문헌 연구와 중국 생활을 통해 직간접적인 노력을 경주하였지만, 장구하고 광범위한 중국을 이해하는 것은 한계가 있음을 고백한다

 돌아보면, 중국 선교사로 사명을 감당할 수 있었던 것은 오직 하나님의 은혜였음을 고백하며, 하나님이 중국을 얼마나 사랑하시며, 중국에 대해 큰 기대를 가지고 계시는지 절감하고 있다.

 

 2016년 이후, 중국에서 사역하던 외국 선교사들이 대부분 철수하고, 중국 내의 교회들은 정부의 종교정책의 영향을 받으며 내실을 다지며 성장과 발전을 모색하는 상황이다.

 한때, 세계 기독교계가 급성장하는 중국교회의 부흥을 반기며, 세계 선교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하며 협력하고자 하였는데, 지금도, 여전히 중국교회를 사랑하시는 하나님께서 중국교회의 내적 성장과 외적 확장을 주관하심을 확실히 믿는다.

 

 본 발제자는 최근, 유럽, 미국을 방문하여 화인(華人)교회 예배에 참석하고, 관계자들을 만나며, 화인교회의 상황을 좀 더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해외에 거주하는 화인들의 복음화율이 지극히 낮고, 일부 지역과 국가에 있는 화인교회에 목회자가 절대 부족하며, 젊은 중국 이민자들에게 효율적으로 복음을 전파할 계획과 성도들의 영적 성숙을 위한 프로그램 및 교육 과정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한편, 일부 화인교회에서 아프리카와 중동 등 제3국에서 온 이민자와 난민들을 하나님의 사랑으로 섬기고, 세계 선교를 위해 역동적으로 활동하는 상황도 보고 들었다.    

 

금번에 발제 할 주제는 중국 선교 전망인데, 이를 논하기 위해서는 중국의 일반 역사와 기독교 역사, 중국의 정치 및 기독교 전반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발제자는 일찍이 중국 기독교를 깊이 연구하고, 활동했던 조나단차오(趙天恩) 목사를 기념하여 2006년에 발간한 조나단차오 목사의 중국교회사논문집[1]에 나타나는 내용 중 중국교회의 발전 계획과 비젼을 중심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제자는 2012년 안식년을 맞이하여, 대만의 침례회신학교에서 중국 기독교사와 대만교회에 대한 이해를 깊이 할 수 있는 시간을 가졌다.

신학교내에 있는 숙소에 거주하면서, 조식을 마치자 마자 도서관으로 향했다. 도서관에는 중국어로 된 기독교 관련 도서들이 반갑게 기다리고 있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수많은 책들 중에서 관심이 깊은 책들을 읽음과 동시에 한국어로 번역하기 시작하여, 8개월 동안 20여권을 번역했다. 그 중에, 조나단차오 목사의 중국교회사 논문집이 있었다. 이 책은 발제자에게 대만 기독교를 이해하고, 중국 교회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 관해 많은 생각을 하게 하였다.  

중국교회사 논문집은 조나단차오 목사의 중국교회를 향한 사랑과 열정을 바탕으로 한 지혜와 계획을 볼 수 있었다. 12년이 지난 지금, 조나단차오 목사의 저서를 바탕으로, ‘중국 선교 전망을 발제 할 수 있어서 감개무량하고, 조나단차오 목사의 혜안에 경의를 표하는 바이다.

 

본 론

앞의 두 발제자를 통해서, 중국교회의 발자취와 중국교회의 현 상황에 대해 깊이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본 발제는 중국 교회가 내적으로 어떻게 성장하고 발전하여 중국 내부에서의 역할을 감당할 것이며, 외적으로 세계 선교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살펴보고자 한다.

 

1장.     중국 교회의 내적 역할

    중국 기독교가 중국 교회와 중국 사회를 향한 내적 역할을 어떻게 할 것인가? 중국 교회는 내부적으로 취약한 부분은 무엇이며, 어떤 부분을 보완하고 강화해야 할 것인가? 또한, 중국교회가 중국 사회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으며, 이에 대한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은 무엇인가?

이 모든 것을 오래 전에 간파하고, 장기적인 계획으로 추진하고자 했던 조나단차오 목사의 견해를 인용한다.

조나단차오 목사는 많은 계획을 하였는데 천안문 광장에서 부흥회, 중국에 높은 수준의 신학원을 설립하여, 중국 전역 7대 목회구에 있는 신학원의 교수들을 배출, 전국 가정교회 지도자들의 전략회의를 통해 세 번째 맞이하는 3000년의 중국교회를 이어받아 선교, 중국 환경에 맞는 중국인이 쓴 신학교과서를 출판, 중국교회사와 중공종교정책 평론집을 역사적인 관점에서 토론하여 미래 중국 종교 정책을 건의등이다.

또한, 중국교회가 마땅히 가야할 방향을 중국복음화, 교회의 하나님 나라화, 문화의 그리스도화’3가지 비젼으로 제시했다.  

 

조나단차오 목사는 15(1953)에 전도자로 사명을 받고, 25(1963)에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 입학하여 본격적으로 신학 수업을 받은 이후, 2004년 하나님의 부르심으로 받아 이 세상을 떠나 천국으로 돌아간 66(2004)까지, 50년의 세월을 중국교회와 세계복음화에 바쳤다.

조나단차오 목사가 기대하는 중국교회의 모습 부흥의 전망, 중국신학의 정립, 중국가정교회 지도자들의 연합, 선교적 중국교회, 중국 정부의 종교 정책에 대해 상고하고자 한다.

 

1.    부흥의 전망

조나단차오 목사는 2007년 천안문 광장에서 부흥회를 하는 꿈을 가졌다. 조 목사의 바램이 단순히 북경의 가장 넓은 광장에서 세계가 주목할 만한 많은 숫자의 신자들이 모여서, 예배를 드리는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조 목사가 간절히 바랬던 것은 중국 성도의 숫자 증가와 영적 내실, 사회적인 영향과 중국 정부의 기독교에 대한 인식과 정책 변화를 아우르는 결과로써 부흥회를 기대했을 것이라고 본다.

1990년 대 이후부터 2010년 대까지 약 20년 동안 중국교회는 양적, 질적으로 급속한 성장을 하였다. 양적 성장의 긍정적인 측면은 성도의 수가 늘어나고, 교회의 개척, 교회의 규모, 교회의 재정, 교회 운영, 성도 양육을 위한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고, 전문화되기 시작했다.

이와 반대로 부정적인 측면은, 외형적인 경쟁구도로 인해, 더 크고 넓고 화려한 교회를 추구하고, 교인수와 재정을 과시하는 풍조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심지어, 한국을 비롯한 해외에 대형교회를 모방하고자 하는 움직임도 있기도 했다.

그러나, 2018년 이후, 성도들은 또 다시 신앙을 지키고, 복음을 전파하는 것에 대한 도전을 받고 있다. 믿음이 약한 성도들은 일시적으로 기독교 신앙을 보류하거나 교회를 떠나기도 하는 사례가 있지만 대부분의 성도들은 순교로 신앙을 지킨 신앙 선배들의 삶을 따라 도전을 받아[2], 환난의 때에 신앙을 정결하고 견고하게 유지하고자 하는 결의를 다진다.

아울러, 중국이 경제적으로 성장함에 따라 사람들의 물질적인 삶이 풍요해지는 한편,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들이 발생하는데 상대적 빈곤, 청년 실업, 노인 인구 급증, 한 자녀의 왜곡된 인격, 치열한 경쟁, 비교의식에 따른 상실감 등이 중국인들의 삶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정부와 공적 기관이 감당하지 못하거나 할 수 없는 영역에 교회의 역할이 필요하다. 이미 중국 교회가 NGO를 통해 사회적 책임을 감당하고 있지만, 향후 더 많은 영역에서 세부적이고 전문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1.    중국 신학의 정립 

중국교회의 영적 건강은 바른 신학에 바탕을 두고 있는 가의 여부에 달려있다고 본다. 이는 전세계 교회사를 통해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데, 조나단차오 목사는 일찍이 신학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깊은 관심을 가졌다. 26세가 되던 1964년부터 대만의 신학원과 기독서원 교수로서 라틴어, 헬라어, 성경을 가르치기 시작하고, 29세가 되던 1967년에는 중국신학연구원 준비위원회를 설립하였고, 1970년에는 타이베이의 중화복음신학원의 교무주임을 맡았다. 그는 대만을 비롯하여 홍콩에서 신학연구원을 맡아 교무 사역을 맡았다.

35세가 되던 1983년에는 방송신학을 설립하여 전파를 통해 중국 가정교회의 성도들이 신학훈련을 받을 수 있게 하였다. 39세가 되던 1987년에는 홍콩에 중국선도신학원을 설립하여 20006월까지 원장으로 섬겼다.

조나단차오 목사가 신학적으로 중국교회를 위해 크게 공헌한 것 중 하나는 1995년 중국 대륙 가정교회 지도자들과 대화를 하여, 신앙고백, 이단과 신학 문제를 해결하는데 협조하기로 하였는데, 199811월에 중국가정교회 신앙고백을 대외에 공포하였다. 이후에도 조나단차오 목사는 임종하기 직전인 20031122일부터 캐나다에서 진행된중국교목 선교세미나에 참석하는 등, 중국의 신학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현재, 중국 교회는 대내외의 영향을 받아, 여러 경로를 통해 복음이 전파되고, 신앙적인 경험이 다양하기에, 신학적인 입장은 매우 중요하다. 중국교회가 내적 부흥과 발전을 위해서 중국적 상황에 맞은 신학이 정립되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특히, 최근 중국 자생 이단을 포함하여 한국과 외국에서 유입된 이단으로 인한 피해가 급증하고 있기에, 바른 신학을 정립하여 대처하는 것은 더욱 시급해졌다.

 

2.    중국교회의 선교인식  

하나님의 주권으로, 복음이 일찍부터 중국에 전파되었고, 역사 속에서 풍상을 겪었던 중국교회는 약 13천만명에 달하는 성도를 지닌, 기독교 대국의 위치에 있다. 교회 역사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교회의 부흥은 곧 선교적 책무를 가져왔다. 유대에서 시작된 초대교회는 부흥과 더불어 사마리아와 땅끝까지 복음을 증거하는데 쓰임 받았다. 로마의 국교가 된 기독교는 로마의 확장과 더불어 선교적 역할을 감당할 수 있었다. 영국을 비롯한 유럽의 여러 국가에서 부흥을 경험한 기독교는 자의 혹은 타의에 의해 선교적 역할을 감당할 수 있었다. 20세기 이후 한국을 비롯하여 기독교 부흥을 경험한 제3세계는 전 세계를 향하여 선교사역을 활발하게 전개하고 있다.

 조나단차오 목사는 중국교회가 세계 복음화를 위한 책무를 감당해야 할 것을 인식하였다.

 

북경에서 전국 가정교회 지도자들의 전략회의를 개최하여 세 번째 맞이하는 3000년의

중국교회를 이어받아 예루살렘에 복음을 전하는 것

 

조나단차오 목사는 중국교회가 하나님의 은혜가운데 일찍이 복음을 받아들였고, 역사 이래로 가장 복음이 흥왕한 시대를 누리고 있음을 간파하고, 중국 전역에 산재한 가정교회에서 영향을 끼치는 지도자들이 선교에 대해 적극적인 자세를 갖기를 촉구했다. 세계 선교 책무를 감당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체계를 갖춘 연합화이다.

중국교회는 이미 일찍이 송상절 목사의 해외 순회 부흥회를 비롯하여, 서북 영공단에 의한 선교 활동, 중국 접경 국가에서의 선교, 21세기 가정교회의 해외 선교 등이 진행되고 있다.

 

3.    중국 정부의 종교 정책

조나단차오 목사는 중국 교회가 사회주의를 기반으로 중국 정부의 종교 정책에 영향을 줄 수 있기를 바랬는데, 20182월 이후에 중국 정부가 취한 종교 정책은 반대 현상을 보이고 있어서, 조나단차오 목사의 기대는 거의 불가능하게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교분리의 원칙을 전제로 하여, 조나단차오 목사의 기대를 분석하여, 적용 가능한 접촉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오랫동안 국내외에서 가르쳤던 중국교회사와 중공 종교정책평론집을 역사적인 각도에서 과거의 정책을 토론하여 미래 중국 종교 정책을 건의하는 것 등이다.

 

   중국 정부의 종교의 중국화정책을 중국의 교회가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을 숙명처럼 받아들일 것인가? 장기적으로 중국이 마땅히 취해야 할 종교 정책을 제시할 것인가? 현실적으로, 당장 실마리를 찾을 수 없다 하더라도 포기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성경의 예를 들면, 요셉이 애굽의 바로 치하에서도 신앙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었고, 다니엘은 바벨론의 절대 권력자들에게 여호와 하나님의 실존을 증거할 수 있었다.

교회 역사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황제를 우상화하고, 군사력을 바탕으로 했던 로마제국 치하에서도 기독교는 국교로 채택되는 변화가 일어났으며, 세속적인 이데올로기와 통치 체제에서도 기독교는 다양한 측면에서 큰 영향을 줄 수 있었다.

 

2장.     중국 교회의 외적 역할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조나단차오 목사의 기대처럼 중국 교회가 부흥, 신학 정립, 선교 인식, 종교 정책의 과제를 해소하고자 노력하는 것과 동시에, 외적으로 선교적 책무를 감당해야 한다.

 중국은 세계 어느 국가의 교회 보다 선교 책무를 감당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는데, 이를 크게 일반적인 여건과 교회적인 요건, 디아스포라 요건으로 구분 할 수 있다.

 

1.    일반적인 요건

중국 교회가 자체적으로 노력하지 않았음에도 갖춰진 요건을 일반 요건이라고 전제하면, ‘지리 ,종족 , 언어 , 자연 환경, 문화, 국력등이 이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중국은 14[3]국가들과 국경을 맞대고 있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인근 국가[4] 14개가 인접해 있다.  전 세계 250여개 국가 가운데 중국처럼 국경을 많이 맞대고 있는 경우는 없다. 이는 영토적인 요소뿐 아니라 외교, 군사, 경제를 비롯하여 영적으로 선교를 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건을 갖추었다고 할 수 있다.

중국 정부의 공식 발표는 56개의 민족이 있다고 하지만, 세계 전문기관에서는 중국내에 약 551개의 소수민족이 있다고 발표했으며, 서로 소통되지 않는 언어가 약 2,000개 이상 된다. 

중국에는 산, 바다, , 사막, 고원, 평야가 있고, 일년에 4계절이 동시에 존재한다. 일년 내내 눈이 덮인 해발 5천미터가 넘는 산이 있으며, 일년 내내 뜨거운 사막이 있는가 하면, 일년 내내 초목이 무성한 남쪽 등 지구상에서 볼 수 있는 대부분의 자연 환경을 다 경험할 수 있다. 이 또한 선교를 위한 중국교회에 유리한 조건이다. 

  선교사역은 타문화권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선교사의 문화 적응 능력은 매우 중요하다. 중국에는 수많은 소수민족의 문화는 물론, 각 지역별로 독특한 문화들이 존재는 데 문화적 다양성은 선교를 준비하는데 좋은 조건이다.

  미국에 이어 국민 총 생산 순위가 2위인 중국의 경제력은 중국인들의 해외 진출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최근에는 일대일로(One belt one road)를 기치로 하여, 육상과 해상의 새로운 경로를 개발하여 아시아, 아프리카, 유럽, 중앙아시아, 중동을 아우르고 있어 중국인들의 해외 진출을 용이하게 하는데, 중국교회가 세계 선교를 감당하는데 유리한 조건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